본문 바로가기
  • 공공 미디어 _ 사용자 경험과 데이터를 활용, 공간 미디어의 디지털 전환 (DX)

공공 미디어/컬럼119

ICT 중소 제조사 경쟁력은? ICT 제조 산업 발전 패턴이 정해지는 듯하다. 1. 초기 시장 - 스타트업, 중소기업들은 혁신으로 시장을 개척하고 조성함 - 아직 니즈가 없는 고객에게 필요성을 자극한다. - 이때 두각을 나타내는 기업은 기술력과 영업력을 지닌 기업들이다. - 경쟁 제품이 적기 때문에 가격보다는 경험을 중요시하는 얼리어댑터를 고객으로 품는다. 2. 시장 개화기 - 경쟁 기업이 나타나고 고객이 제품에 관심을 보이는 시기이다. - 가격과 제품 차별화 경쟁이 일어나면서 고객의 제품 선택 폭이 넓어지는 시기 - 스타트 업과 중소기업들 중 스타 기업들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 시장 성장성을 모니터링한 대기업의 시장진입 시기 3. 캐즘 시기 - 관련 제조 기업 및 유통 기업들의 시장 진입 - 시장은 가격 경쟁으로 수익성 악화 시기.. 2024. 10. 25.
공공미디어디렉터의 "공공 미디어" 이야기 - II 사람들에게 내가 하는 일을 설명할 때 가장 쉽게 설명하는 것이옥외 전광판과 삼성동 디지털 옥외광고를 예를 든다.디지털 사이니지라는 용어가 업계에서는 진부하지만일반인들에게는 아직도 생소하다. 디지털 사이니지도 생소한데, 공공 미디어라는 용어로 사람들에게 다가갈 때 그 낯설음은 아주 크다.그래도 과거 보다 많아진 거리의 디지털 디스플레이 (키오스크, 터치 스크린, 옥외전광판 등등) 덕분에 사람들에게 설명하기는 몇 년 전 보다 쉬워졌다. 어려운 용어이지만 사람들에게 공공미디어에 대한 용어를 확산시키는 이유는제한된 산업으로 규정되지 않고, 융복합 산업으로 인지시키기 위함이다. 옥외광고, 리테일, 전시관과 박물관, 공공시설 등을 공간과 장소를 기반으로 디지털 전환(DX) 시키는 작업이 공공 미디어 있다. 공공 미.. 2024. 4. 2.
공공미디어디렉터의 "공공 미디어" 이야기 - I 2021년 9월 마지막 블로그 글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오늘 2024년 3월 31일 3년 반 만에 다시 블로그를 시작한다. 그동안에 많은 일들이 있었다.사회적으로나 개인적으로  1인 법인이었던 엠앤엠네트웍스에게도.... 글로벌 팬더믹 "Covid -19"로  7년 동안 준비한 해외 사업을 접어야 했다.그로 인한 극심한 후유증과 잠시 사업을 중단해야 했던 기간을 거쳤다. 2023년 주변의 도움으로 회사를 회생시키며,위기인 듯 기회, 기회인 듯 위기를 다시 맞이하였다.그렇게 2024년 1분기를 보내고 있다. 어려움이 닥칠수록 개인 브랜드와 회사 정체성을 지켜야 했다.사람들에게 각인된 그것이 사람들에게 도움을 청할 수 있는 그 무엇인 되었다. 지난 암흑기의 3년 간 개인적으로 브랜드를 다지는 시간이었다.개인적.. 2024. 3. 31.
디지털사이니지는 "공공미디어" 서비스 솔루션 해외 리서치 기관(Grand View Research)에서는 디지털사이니지를 서비스 산업으로 규정하고, 서비스 유형에 따른 시장 규모를 측정하고 있다. 다양한 분야에서 디지털사이니지가 보급 확산되는 이유는 공공 미디어(Public Media)로서 역할이 확대되기 때문이다. 해외 리서치 기관에서 디지털사이니지 산업별 시장 규모 측정을 위해 서비스 유형으로 소매업(Retail), 관광, 엔터테인먼트, 스포츠경기, 경영, 금융, 헬스케어, 교육, 운송 등으로 분류하였다. 해당의 서비스에 디지털사이니지를 적용하는 이유는 고객 경험 고객 참여 유도,, 브랜드 전략, 광고수익, 비용절감/효율성, 경쟁자와 차별성, 내부 의사소통 등이었다. 국내도 해외와 유사하다.국내는 4차 산업혁명, 스마트시티, 디지털 뉴딜 등의 .. 2021. 9. 23.
서울시 '스마트쉘터'와 공공서비스 가치 (III) 서울시 스마트쉘터와 관련한 다양한 의견들이 기사에 보도되었다.계획대로 구축, 운영이 되지 않고, 시민 불편이 증가되면서 그동안 지켜보던 다양한 의견들이 표출된 것이라고 본다. 1) 2021년 7월 6일 기사광고 때문에...'냉·난방' 최첨단 서울 버스정류소 8개월째 공사만...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70416550004356?did=NA  광고 때문에...'냉·난방' 최첨단 서울 버스정류소 8개월째 공사만...서울시가 지난해 10월 착공한 미래형 시내 버스정거장 '스마트쉘터' 공사가 8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당초 서울시는 작년 12월 ‘첫 번째 승차장을 선보이겠다’고 했지만 불발했고, 지난 5월에 이www.hankookilbo.com 2) 2021년.. 2021. 8.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