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미디어/SD & BM36 스마트관광도시 시범 조성사업을 위한 서비스모델 및 시나리오개발 필요성 스마트 관광도시는 도시가 갖고 있는 콘텐츠를 관광 산업과 결합하여 도시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여기에 스마트(SMART)라는 기술 기반의 서비스 용어가 붙은 것은 스마트 시티(SMART CITY)의 목적과 같은 맥락에서 라는 생각이 든다. 각각의 도시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기술과 서비스 그리고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문제를 풀어감으로써 생산과 소비 그리고 지속성을 가질 수 있는 도시로 바꾸어 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스마트 관광 도시는 고유의 콘텐츠를 갖고 있는 도시에 기술 기반의 서비스를 통해 시민과 관광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도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정책으로 풀이된다. 스마트 관광 도시의 핵심은 1) 스마트(SMART)라는 기술 기반의 서비스 도구와 .. 2020. 4. 14. KCA _ 전남, 광주지역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2019년 4월 부터 2019년 12월까지 우리팀(엠앤엠네트웍스 미디어 서비스팀)은 전남, 광주 지역에 무수히 자주 다녔다. 광주, 순천, 광양, 나주, 목포, 여수 등지를 다니면서 스마트 사이니지 서비스 적용 지역 선정과 현장 조사 및 서비스 모델을 만들가 위해 봄햇살을 맞으며 시작된 일이 겨울 바람으로 맞으며 종료하였다. 실제 가능한 공공 미디어 서비스를 만들고, 적용 가능하고, 추정 예산 편성까지 가능하도록 연구 보고서를 만들려고 노력을 하였다. 그리고 기획에서 구축 그리고 실제 서비스 까지 소요되는 기간을 고려한 기술 선정과 서비스 개발을 위해 많은 논의를 거쳤다. 본 연구의 일부 서비스는 일부 지자체에서 적용 검토하고 있으며, 타 지자체에서 유사한 서비스를 도입하는 성과도 있었다. 또한 광고 모.. 2020. 3. 23. 국립 생태원 체험 공간 운영 활성화 방안 보고서 (디지털사이니지 전시 구축 활용) 2017년 국립 생태원의 방문자 센터를 "생태 미디어 체험공간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은 방문자 센터에 디지털 미디어 적용을 통해 국립 생태원 가치를 높이는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었다. 총 3개년으로 단계별 구축 방안 기획과 그에 따른 구축 시나리오와 특성 등을 보고서에 담았다. 1. 생태미디어 체험 공간 운영 활성화 방안 보고서 2. 생태미디어 체험 공간 운영 활성화 방안 부록 - I 3. 생태미디어 체험 공간 운영 활성화 방안 부록 - II 4. 생태 미디어 체험 공간 운영 활성화 방안 부록 - III 디지털 미디어 및 체험 공간 기획과 설계를 위한 연구는 국내에서는 아직 체계화 되어 있지 않다. 그 이유는 미디어 서비스와 ICT 기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용자와 고객.. 2018. 5. 26. 디지털 사이니지 지속가능 서비스 모델 개발 방법 서비스 모델은 수익 모델과는 다른 개념이다. 수익 모델은 현금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서비스 또는 제품이 어떠한 가치를 가짐으로써 얼마만큼을 벌 수 있다라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서비스 모델의 경우는 사용자에게 어떠한 가치(필요,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느냐가 핵심이다. 가치 충족을 통해 수익화 할 수 있는 부분을 만드는 것이다. 일반적인 수익 모델을 갖고 있다라고 할지라도 서비스 모델의 가치 충족에 따라 수익성은 달라질 수 있는 것이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수익을 내기 위해 가치를 지닌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는 것이 아니라 가치 충족을 위한 서비스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수익성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는 돈을 벌기 위해 일하는 것 보다는 즐기면서 일하다 보니 돈을 벌게 되는 개념이다... 2015. 9. 22.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구축의 핵심 일상 생활에서 우리가 경험하게 되는 대부분의 옥외(Out Of Home)는 불특정 다수가 공유하는 공간이 많다. 장소가 사유지인 경우에도 도시 공간에서 공공재로 활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부분을 고려해 보면 도심의 옥외는 부동산 소유 유무라는 법적 권리와 함께 공공의 이익을 위한 공공장소(Public Space)적 성격을 갖고 있다. 그리고 공공장소(Public Space)로 역할과 기능이 부여되는 것은 공간적 특성이 지닌 정의에 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불특정 다수가 함께 사용하고, 활용하는 공간의 특정한 장소에 서비스되는 디지털옥외미디어로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해하면 될 것이다. 공간, 장소, 사용자 간의 관계성에 대한 조사, 분석은 디지털 사이니지는 기획, 개발, 구축의 전 과정에 반영이 되어.. 2015. 8. 25. 이전 1 2 3 4 ··· 8 다음 mor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