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공공 미디어 _ 사용자 경험과 데이터를 활용, 공간 미디어의 디지털 전환 (DX)

공공 미디어/데이터 분석 (DA)16

디지털 사이니지 vs 디지털 옥외광고 효과 측정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에서 디지털 옥외광고 산업으로사업 중심을 옮기면서 막연히 알고 있던 내용들을 정리하기 시작했다. 엠앤엠네트웍스지난 13년 동안 매년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프로젝트 수행에서 디지털 사이니지와 디지털 옥외광고를 구분하지 않고고객 요구사항에 맞춰 데이터 분석을 수행했었다.그래서 막연히 알고 있었고,디지털 사이니지와 디지털 옥외광고 효과 정의를 구분하지 못했던 것 같다. 최근 자체 솔루션을 개발과 디지털 옥외광고 효과 연구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디지털 사이니지와 디지털 옥외광고 효과 측정의 차이를 인지하게 되었다. 아래의 내용은 자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고서 작성에 반영한 내용을 정리하였다.일부 내용은 AI 들과 협업하여 글 구성을 하였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불특정 다수가 이용.. 2025. 2. 26.
광고 효과 측정부터 기기 관리까지_ AI 기반 DOOH 플랫폼을 꿈꾸며... 디지털 옥외광고(DOOH)는 현대 광고 산업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 중 하나입니다. 전통적인 옥외광고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면서, 실시간 데이터 분석과 맞춤형 광고가 가능해졌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DOOH 시장은 여전히 중요한 도전과제들에 직면해 있습니다. 현재 DOOH 시장의 가장 큰 문제점은 광고 효과 측정의 한계에 있습니다. 대부분의 기술이 단순한 광고 노출 횟수, 즉 가시성(Viewability)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어, 실제 광고가 시청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DOOH의 본질적 특성인 공간과 위치 기반의 특성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시청자들의 행동과 상호작용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도 부족한 실정입니다. 디지털 옥외광고(DOOH.. 2025. 1. 19.
글로벌 옥외광고 효과 측정 방법 조사 옥외광고(Out-of-Home, OOH)는 소비자의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는 광고 매체다. 도로변 광고, 대형 빌보드, 디지털 화면 등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며, 최근에는 디지털화(Digital Out-of-Home media, DOOH)를 통해 정밀 타겟팅과 실시간 광고 배포가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광고 효과를 정교하게 측정할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이 자료는 '옥외광고 효과지표 표준화 얼라이언스' 활동에 따른 조사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자료 내용은 Global OOH Audience Measurement Guideline (2022)과 Media Rating Council (MRC) 2023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 옥외광고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주요 지표]1. 위치 트래픽(Loc.. 2025. 1. 14.
[데이터 분석] 전통 시장 사업을 위한 조사 분석 보고서 (용인중앙시장) 전통 시장을 중심으로 사회적 사업 활동을 하고자 하는 파트너사의 요청으로 "전통 시장에서 장사 하기"라는 명제를 갖고 공간 및 사용자 조사 분석을 시작하였다. 선한 의도를 갖고 실험적인 시도를 하는 기업에게 가능한 객관적 근거와 실패에 대한 준비와 성공의 요소를 찾기 위해 전통 시장에 대한 기존의 접근 방법과 다르게 접근하고자 하였다. 공공 미디어 구축 방법론으로 공간, 장소, 사람, 기술과 사업성을 분석하는 엠앤엠네트웍스의 방법론을 접목해 보기로 했다. 제시된 공간은 용인 중앙 시장이었다. 용인 중앙 시장의 특성과 주변 상황과 사용자에 대한 조사를 하고, 장사하기 좋은 장소와 주요 목표 고객층 그리고 사업성을 측정하는 순으로 진행하였다. 그리고 주요 고객층과 소통할 수 있는 장사 아이템을 위한 컨셉 키.. 2018. 8. 20.
[데이터 분석] 소상공인 음식점 활성화를 위한 요약 보고서 디지털사이니지 사업을 위해서는 고객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인 미디어 전달을 위해 데이터 분석 분야를 자연스럽게 접하게 되었다.이번 프로젝트는 소상공인 음식점에 디지털사이니지를 효과적으로 운영을 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 내용으로 매장 주에게도 미디어를 분석하는 우리에게도 의미가 있었던 프로젝트였다. 리테일 매장의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와 비용절감 요소를 데이터 분석을 통해 조사하고자 하는 목적이었다. 데이터는 POS와 고객이 디지털 메뉴 보드를 이용하여 수집되는 로그 등 을 활용하는 계획으로 진행을 하였다.디지털 메뉴 보드 필드 사용의 어려움과 현장 적용에 따른 사용성문제로 데이터 수집의 한계가 있어, 수집된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가설 형태의 추정으로 진행하였다.보고서의 가능성에 대한 검증을 통해 향후 목적에 .. 2017. 9.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