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미디어/SD & BM37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구축의 핵심 일상 생활에서 우리가 경험하게 되는 대부분의 옥외(Out Of Home)는 불특정 다수가 공유하는 공간이 많다. 장소가 사유지인 경우에도 도시 공간에서 공공재로 활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부분을 고려해 보면 도심의 옥외는 부동산 소유 유무라는 법적 권리와 함께 공공의 이익을 위한 공공장소(Public Space)적 성격을 갖고 있다. 그리고 공공장소(Public Space)로 역할과 기능이 부여되는 것은 공간적 특성이 지닌 정의에 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불특정 다수가 함께 사용하고, 활용하는 공간의 특정한 장소에 서비스되는 디지털옥외미디어로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해하면 될 것이다. 공간, 장소, 사용자 간의 관계성에 대한 조사, 분석은 디지털 사이니지는 기획, 개발, 구축의 전 과정에 반영이 되어.. 2015. 8. 25. <미래시나리오> 생산과 소비에서 공유와 가치의 시대로 전환 산업과 일상의 경계가 낮아지고,무너지고, 없어지는 현재에서 가까운 미래는 아침 점심 저녁 처럼 시간의 흐름만 있을 뿐 공간적 제한과 일과 업무의 분리 여가와 일상의 분리 등등의 시공간을 분리하여 일상을 쪼개어 사용하는 생활은 점점 사라질 것으로 본다. 시공간을 분리하여 생각하는 시대가 다가올 수록 우리가 생각해야할 부분은 인프라와 서비스 그리고 플랫폼에 대한 화두이다. 가까운 미래 사회에서 인프라는 국가가 담당해야할 기간 산업이며, 플랫폼과 서비스는 기업이 수익 창출을 위한 전략 산업이다. 19세기 산업 혁명을 거치면서 공공 기간 산업에 대한 국가 주도의 운영을 통해 산업이 발전하게 되었다. 산업의 발전은 필수품에 대한 공급의 확대를 통해 필수품에 대한 가치를 낮추었고, 필수가 필요로 전환하면서 서비스.. 2014. 8. 4. 동일본 지진을 통한 일본 디지털 사이니지 구축 사례 디지털 사이니지가 전자 간판에서 공공 공간을 기반으로 한 미디어로 나아가야 함 2010년 이후 주장해온 필자에게 일본의 총무성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사이니지 구축 사례는 상당한 의미있는 자료였다. 국내에서도 재난, 재해에 따른 예방과 대처 그리고 대책을 위한 방안으로 ICT 가 적용이 되고 있지만 통합적인 관점에서 국민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갈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에 대한 접근이 미흡하다. 재난 재해는 사전 징후에 따른 예방정보와 사후 사태에 따른 행동 및 대처 요령 그리고 사태 수습을 위한 정확한 정보가 핵심이다. 이러한 정보들을 동시에 수집, 분석, 제공 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미디어 기술이 핵심이며, "창조 경제"를 위한 정부의 과제가 된다. "창조 경제"는 융복합을 통한 새로운 사업을 만들어 내는.. 2014. 6. 30. PAG 플랫폼 미래전략 컨퍼런스 2014 IT 관련 크고 작은 행사들이 국내외에 수 없이 많다. 그럼에도 "PAG의 컨퍼런스" (http://onoffmix.com/event/29021)가 매년 많은 사람들에게 주목을 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사람 중심"으로 컨퍼런스가 운영되기 때문이다. 정보 공유와 지식 전달이라는 컨퍼런스의 중요한 메세지 보다 정보를 공유하고 지식을 전달하는 사람 간의 네트워크가 더 중요한 세상에서 IT는 수단이며 방법이다. 국내 IT 전문가들이 모여 정보와 지식 뿐만 아니라 함께 얘기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까지 마련된 특별한 컨퍼런스가 바로 "PAG의 컨퍼런스"이다. PAG는 국내외 IT 관련 정보와 지식을 나누면서 스타트 업 발굴 및 새로운 기회 창출을 제공하는 다양한 일들을 기획하고 추진하고 있다. "PAG.. 2014. 6. 16. 서비스 모델 개발 기술 기반의 서비스 개발은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기술의 발전이 사람이 상상하는 범주 이상에 와 있기에 지금은 섬세한 기술의 튜닝과 기술 간의 융복합을 통한 응용 기술이 더 요구되는 시대이다. 물론 핵심 기술과 기술 로드 맵에 따른 지속적인 개발과 발전은 전제가 되어야 한다. 지금은 기술 개발을 통해 삶의 가치를 구현하는 시대에서 사용자의 "필요 가치"를 위해 기술이 충족시켜야 하는 시대로 변해 가고 있다. 그래서 기술과 그리고 서비스에 대한 접근 방법과 활용에 있어서 그 위치에 변화를 줘야하는 시기이다.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여 필요 기술들을 활용하고 적용하고 개발하는 환경이 사용자의 필요 가치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기술의 활용, 적용이라는 차원에서 위에 언급한 대로 .. 2014. 4. 11. 이전 1 2 3 4 5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