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ut Of Home media vs Outdoor Advertisement ]
국내에서는 옥외광고를 영어로는 Out Of Home media(OOH)라고 번역한다.
엄밀히 말하면 Out Of Home media은 옥외 광고(Outdoor Advertisement) 보다 상위의 개념이다. Out Of Home은 Outdoor와는 다른 개념이다. 옥외(Outdoor)는 물리적 공간의 안팎을 의미하고 있으며, Out Of Home media(OOH)은 집 밖의 모든 미디어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옥외 광고(Outdoor Advertisement)는 전통적인 옥외광 매체인 옥탑, 야립, 전광판, 교통 시설 등등의 옥외(Outdoor)환경에서 운영되는 광고를 의미한다. 옥외광고(Outdoor Advertisement)의 영역이 대형 쇼핑몰 및 교통시설 내부 등으로 확장되고, 공공 정보 서비스가 함께 제공되면서 Out Of Home media(OOH)로 개념이 확장되었다. 옥외광고(Outdoor Advertisement) 영역의 물리적 확장, 정보와 콘텐츠의 추가로 Out Of Home media(OOH)로 정의가 바뀌어야 하지만, 관성적으로 옥외광고로 말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 밖의 미디어<Out Of Home media(OOH)>를 옥외광고로 개념화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상위 개념을 하위 개념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 Out Of Home media(OOH)의 기능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기능적 접근을 한 이유는 디지털사이니지를 Out Of Home media(OOH)에 도입 적용하기 위해서는 옥외광고 산업에 제한시키지 않고 다양한 Out Of Home media(OOH)서비스로 산업을 키우기 위해서였다.
[미디어 정의 ]
회사 생활할 때 Out Of Home media(OOH) 분야에 디지털 사이니지 도입, 적용, 활용을 통한 시장 창출을 담당했었다.
이 업무에서 가장 어려웠던 것이 디지털 사이니지 도입이 필요한 산업 범위였다. 처음에는 막연히 옥외광고(Outdoor Advertisemen)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Out Of Home media(OOH)를 조사, 분석할수록 옥외광고(Outdoor Advertisemen)로 제한하는 것이 시장 규모와 비전에 한계를 두는 느낌이었다.
Out Of Home media(OOH)에 집중을 하고 집 밖의 모든 미디어에 대한 규정을 위해서는 미디어 본질적인 의미 파악이 필요했다. 선입관적으로 필자에게 미디어는 물리적 매개체(TV, 라디어, 신문, 핸드폰 등등)였다.
디지털의 발전으로 미디어를 물리적 매개체로 선언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미디어는 물리적 매개체를 통해 의미와 내용을 전달하는 기능이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미디어에 대한 새로운 생각과 관점이 필요했다.
이런 필자의 고민에 미디어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에 답을 해준 이는 "마샬 맥루한" 이었다. 그의 "미디어는 메시지다" 라는 한 문장은 혼돈스러웠던 필자를 일깨웠다.
마샬 맥루한은 미디어가 콘텍스트를 전달하는 메시지이고, 사람들은 그 메시지를 통해 사고, 생각, 행동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의 본질적 의미는 메시지를 통한 사람을 변화시키는 것이었다.
[ 공간 미디어 ]
미디어 정의를 내린 후 Out Of Home media(OOH) 의 메시지 전달 효과와 특성을 고민하였다. 그리고 2011년 7월에 작성한 블로그 "디지털사이니지 : 대중에게 다가간 공간 미디어"에서" 공간 미디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당시 디지털사이니지 사업을 담당했던 필자는 Out Of Home media(OOH)에 디지털사이니지 도입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있었다. 당시에는 Out Of Home media(OOH)에 디지털을 적용한 미디어를 Digital Out Of Home media(DOOH)로 통용되고 있었다.
필자는 효과적인 메시지 전달을 위해 Out Of Home media(OOH)는 도시가 규정한 공간 특성에 따라 메시지 전략과 전술을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후 디지털사이니지 사업을 위해 Digital Out Of Home media(DOOH)를 공간 미디어(Space Media)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도시가 갖고 있는 공간 특성에 따른 최적의 솔루션 (Housing Design, HW, SW, Contents, Network, Maintnance )을 제공하는 사업을 하였다.
Out Of Home media(OOH)에서 공간, 사람, 콘텐츠 크리에이티브는 핵심 요소였다.
사람이 군집하는 공간, 랜드마크 장소, 사람들의 라이프 스타일 동선에 Out Of Home media(OOH)를 설치 운영함으로써 메시지를 의식, 무의식적으로 인지시키고 있었다. 어떤 Out Of Home media(OOH)는 창의적인 콘텐츠를 제작하여 사람들의 관심, 호기심, 재미를 유발시키며 메시지를 인식시켰다.
필자에게 Out Of Home media(OOH) 특성 중 가장 중요한 요소로 공간이라고 생각했다.
공간과 사람과의 관계에 Out Of Home media(OOH)가 메신저 역할을 하고 있다고 추정했다. 이러한 특성을 파악하면서 필자는 Out Of Home media(OOH) 는 "공간 미디어"라는 결론을 내렸다. 디지털사이니지를 공간 미디어에 도입, 적용을 위한 방법론에 대해 몰입하였다. 공간적인 특징에 따라 콘텐츠와 상호작용 그리고 정보 내용이 달라야 한다는 생각을 했다. 광고 내용도 정보 내용도 공간에 기반하여 제작함으로써 사람들에게 좀 더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당시 개인적으로 Out Of Home media를 공간미디어로 규정한 것은 디지털 사이니지 사업 추진에 크게 기여를 했다.
![]() |
![]() |
![]() |
![]() |
[ 공공미디어 _ Public Media ]
2017년 2월 블로그 공공미디어 서비스로서 디지털사이니지 정책과 비즈니스 방향 제언에서 "공공미디어 (Public Media)"를 언급하였다.
공간 미디어는 규정된 공간에서 Out Of Home media가 최적화된 메신저 역할을 수행했다면, 공공미디어 (Pbulic Media)는 미디어 서비스 측면에서 고민한 정의였다.
공공미디어 (Pbulic Media)에 대한 정의를 위해 홈 미디어, 퍼스널 미디어 서비스 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공공미디어(Public Media)에 대한 개념적 접근을 하였다.
홈 미디어(Home Media), 퍼스널 미디어(Personal Media) 등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콘텐츠를 생산, 소비, 유통하는 방식에 따른 구분이었다. 집 밖의 모든 미디어 <Out Of Home media(OOH)>를 생각하면서 홈 미디어(Home Media), 퍼스널 미디어(Personal Media) 이외 모든 미디어는 공공미디어 (Pbulic Media)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공공미디어(Public Media)란? 누구나 접근 가능한 공간에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미디어!
Out Of Home media(OOH)는 공공미디어(Public Media)이다.
[공간미디어 vs 공공미디어 ]
공간미디어(Space Media)는 효과적인 Out Of Home media(OOH) 운영에 중점을 두었다.
공공미디어 (Pbulic Media)는 Out Of Home media(OOH) 서비스 방점을 두었다.
공간미디어(Space Media) 개념으로 디지털사이니지 사업을 하였다.
공공미디어 (Pbulic Media) 개념으로는 미디어 서비스 사업을 하였다.
[디지털 옥외 미디어 _ Digital Out Of Home media(DOOH)]
공공미디어 (Pbulic Media) 사업 영역으로 스마트 리테일, 실감 미디어 전시, 디지털 옥외광고, 스마트 시티 관련 기획, 컨설팅, 서비스 개발, 구축, 운영 등의 사업을 했다. 다양한 분야에서 일을 하였지만 맥락적으로 미디어 본질에 근거한 공간미디어(Space Media)와 공공미디어 (Pbulic Media)범주의 사업이었다.
필자는 산업과 기업들을 지원하는 사업 중 지속가능하고 비전을 갖고 아이템을 고민하였다. 그리고 산업 발전으로 시장이 커지고, 기술 발전으로 혁신과 새로운 사업 모델과 서비스가 창출되는 분야로 디지털 옥외미디어를 선택했다.
Out Of Home media의 디지털 전환(DX)이 필요하고, Digital Out Of Home media의 연결 시대를 향해가는 현재.
디지털 옥외미디어 사업은 해야할 일과 이루어야 할 일이 많은 분야이고, 누구나 생각하지만, 실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분야이기에 도전을 하게 되었다. 그것이 필자가 경영하는 엠앤엠네트웍스의 주력 사업은 풀 스택 디지털 옥외미디어 플랫폼 이다.
====================================================
옥외미디어 디지털 전환과 DOOH AD Exchange를 위한

디지털 옥외 미디어 서비스 플랫폼
(주)엠앤엠네트웍스 CEO & 공공미디어 디렉터 김성원
e-Mail : sungwon.kim@mnmnetworks.com
=====================================================
'공공 미디어 > 디지털 옥외광고(DOO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계 중심 "풀 스택 디지털 옥외광고 미디어 플랫폼" 개발 내용 (0) | 2025.01.07 |
---|---|
생태계 중심 "풀 스택 디지털 옥외광고 미디어 플랫폼"을 위한 시장 조사 (0) | 2025.01.06 |
옥외광고 산업 캐즘(Chasm) 극복 제언 (0) | 2024.11.16 |
옥외광고 산업의 캐즘(Chasm) (0) | 2024.10.28 |
디지털 옥외미디어 효과 측정 보고서 예시) (0) | 2024.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