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공공 미디어 _ 사용자 경험과 데이터를 활용, 공간 미디어의 디지털 전환 (DX)
공공 미디어/디지털 옥외광고(DOOH)

디지털 옥외미디어 효과 측정 보고서 예시)

by 공공미디어디렉터 _ 김성원 2024. 10. 24.

디지털 옥외미디어는
공간(SPACE)과 장소(Place)와 연동되어 운영된다.
 
설치 및 운영되는 공간과 장소에 따라
미디어 특성과 특정되기도 한다.
그래서 디지털 옥외미디어에서
공간과 장소는 미디어 채널에 비유된다.
 
A. DOOH 운영 환경 분석은 
슬라이드는 상업지역(공간)의 특정 장소에
설치된 디지털 옥외미디어 특성 분석 예이다.
이러한 공간과 장소 기반 미디어 특성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광고주 영업이 가능하다.

01234
A. DOOH 운영 환경 분석

 
 
B. DOOH 광고 콘텐츠 운영 분석
콘텐츠 운영 시스템(CMS) 운영 데이터 기준으로 
특정 장소에 설치된
디지털 옥외미디어의 광고 운영 현황 분석이다.
광고주 선호도 및
광고 운영 현황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미디어사는 광고 영업 전략을 수립할 수 있고,
타겟 광고주를 대상으로
다양한 프로모션을 기획하여 제시할 수 있다.

012
B. DOOH 광고 콘텐츠 운영 분석

 
A. DOOH 운영 환경 분석과
B. DOOH 광고 콘텐츠 운영 분석은
디지털 옥외광고 미디어 특성과 주변 환경 분석이다.
 
미디어 특성은 미디어 채널에 해당한다.
해당 채널의 콘텐츠 시청 효과는 다른 개념이다.
즉 채널 특성과 선호도와
채널의 콘텐츠 호감도는 구분된다.
 
예를 들면
MBC와 TVN은 채널로 규정할 수 있다.
각 채널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은 콘텐츠가 된다.
 
 
C. 광고 효과 분석
특정 장소에 설치 운영 중인 디지털 옥외미디어에
광고주의 콘텐츠 운영에 따른 효과 분석예시이다.
광고 효과 분석은
유동, 노출, 주목 인구 등을 기준으로 측정할 수 있다.

012
C. 광고 효과 분석

 
D. 원격 기기 모니터링 분석
특정 장소에 설치 운영 중인 디지털 옥외미디어는 
무 중단 서비스를 지향해야 하며
기기의 이상치가 발견될 경우 선제적인 조치와
대응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원격 기기 모니터링 및 제어가 필요하다.
 
D. 원격 기기 모니터링 분석은 
디지털 옥외미디어 기기 데이터와
공공 데이터를 기준으로
시계열 및 관계 분석을 통해
기기 현황 관리를 하였다.

0123
D. 원격 기기 모니터링 분

 
엠앤엠네트웍스 D'ooh(;디우) 플랫폼은
플스택 DOOH 플랫폼을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지향점을 플랫폼에 반영하여 개발하고 있다.
 
아래 첨부 화일은 슬라이드 파일 전체 내용을 담고 있다.

AD Report v1.0_MnM
1.96MB

 

====================================================

옥외미디어 디지털 전환과 DOOH AD Exchange를 위한

디지털  옥외 미디어  서비스  플랫폼

(주)엠앤엠네트웍스 CEO & 공공미디어 디렉터  김성원  

 e-Mail : sungwon.kim@mnmnetworks.com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