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공공 미디어 _ 사용자 경험과 데이터를 활용, 공간 미디어의 디지털 전환 (DX)
공공 미디어/디지털 옥외광고(DOOH)

광고 효과 측정 기반 쇼핑몰 디지털 옥외미디어 (호주 편 -II)

by 공공미디어디렉터 _ 김성원 2024. 10. 16.

옥외광고 사업에서

공간과 장소가

미디어 채널(Media Channel) 역할을 한다.

광고주는

미디어 채널 특성에 따라 광고를 검토한다.

그리고 타깃 고객 동선, 유동성에 따라

미디어 채널이 갖고 있는 미디어를 선택한다.

 

호주 미디어 파트너는 

쇼핑몰 화장실 세면대 거울에

디지털 옥외미디어 운영을 계획했다.

화장실은 남,녀, 가족으로 구분되어 있다.

타깃 고객 설정이 명확하다.

화장실 입구

화장실 입구

피플 카운터

 

화장실에 입출입 유동인구를 수집하고

세면대의 미러 디스플레이에서 센서로

감지된 노출인구를 수집하는 방식으로  

광고 효과 측정을  했었다.

화장실 미러 디스플레이
IR Sensor

 

호주 미디어 파트너사는 엠앤엠네트웍스에게

제품 설계 당시 요구한 항목이 

세면대에 사람이 없으면 광고가 표출되고

사람이 세면대에 근접하면  광고 콘텐츠가

우측 상단으로 줄어들 수 있도록 요청하였다.

 

가장 간단하면서 SW와 연동이 쉬운 방법으로

IR 센서를 거울 하단에 설치하였다.

IR 센서의 거리는 1.5m로 설정하여

사람이 거리 안에 들어오면

영상이 좌측 상단으로 줄어들게 하였다.

센서 인식 따른 영상 조절

 

호주 미디어 파트너사는 

호주 전역 쇼핑몰의 층별 남녀, 가족 화장실의

입출입 유동인구와 세면대 앞 노출인구를

산출하여 광고주 및 광고 대행사에 영업을 하였다.

 

개인적으로 의외의 부분은

화장실이라는 장소에 대한 선입견으로 

대형 광고주 유치가 어려울 것으로 생각했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이미 미러 디스플레이 광고를 시도하였지만,

성공적이지 못했다.

호주 미디어 파트너사가 사업 참여를

권유했을 때도 나는 정중히 거절했었다.

 

호주 옥외미디어 사업은 달랐다.

문화적으로 대형 쇼핑몰이 많았고

그들에게 쇼핑몰은 한국의 대형 마트처럼

일상에 들어와 있었다.

 

어떤 지역에, 어떤 규모와

특징을 갖고 있는 쇼핑몰인가에 따라 

광고주 선호도가 달랐다.

 

호주 미디어 파트너는

대형 광고주를 영입하면서 사업을 확장했다.

 

미러 디스플레이라는 매체가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는 공간과 장소를

호주 미디어 파트너사는 개발한 것이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

호주 시드니와 한국을 오가며

그들이 요구하는 제품을 개발하면서

한편으로 엠앤엠네트웍스 팀은 

광고 효과 측정 및 분석을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리테일 미디어 특징에 대해

좀 더 알아가는 계기가 되었다.

 

리테일 미디어는 

리테일의 위치, 규모 그리고 미디어 설치 위치

건물 안팎, 층별 구역 위치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옥외미디어는

채널로서 미디어에 대한 특징을 분석해야 한다.

타깃 고객을 위한 미디어별 시청효과 분석이 필요하다.

그래서 

채널은 유동인구 분석으로 

타깃고객은 노출 및 주목 인구 분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실무에서 터득한 연구를 기반으로

엠앤엠네트웍스의 D'ooh (; 디우) 플랫폼에 적용하였다.

 

====================================================

옥외미디어 디지털 전환과 DOOH AD Exchange를 위한

디지털  옥외 미디어  서비스  플랫폼

(주)엠앤엠네트웍스 CEO & 공공미디어 디렉터  김성원  

 e-Mail : sungwon.kim@mnmnetworks.com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