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내용은 과제 제안을 위해 작성했던 시장 현황을 블로그에 재 정리하여 기재하였다.
○ 옥외광고 산업 현황
- 기존 옥외광고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광고 배치, 관리, 성과 추적의 비효율성과 콘텐츠 교체, 관리 비용 상승 직면
- 1회성 광고를 위한 종이, 파나플렉스, 아크릴, 비닐 등을 활용함에 따른 ESG 측면의 폐기물 등의 자원 낭비 요소 증가
- 디지털 옥외광고미디어(DOOH : Digital Out Of Home media)이 필요하지만, 초기 투자 비용과 기술 인프라 부족으로 디지털 전환의 한계
- 광고주는 광고 성과를 요청으로 미디어리서치사를 통한 벨트(Belt Survey) 조사방법으로 고비용의 효과 측정 수행
-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은 하드웨어 중심으로 발전, 소프트웨어, AI, 데이터 수집, 분석 등의 기술 고도화가 필요
- 디지털 옥외광고미디어사의 경우 지역 및 플랫폼별로 서로 상이하여 통합 운영 한계
- 옥외광고 산업에는 기존의 아날로그와 디지털 모두를 포함하고 있으며, 디지털 전환(DX: Digital Transformation)을 위한 통합 시스템 필요
-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의 주요 고객 산업은 옥외광고 산업으로, 옥외광고 산업의 디지털 전환 지연으로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에도 영향
○ 옥외광고미디어 산업 특성
- 옥외광고미디어는 전통적인 아날로그 방식의 옥외 광고 미디어와 디지털 옥외광고미디어로 구분
- 디지털 기술 발전으로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이 옥외광고미디어와 융복합
-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은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콘텐츠, 데이터 분석, AI, 클라우드 기술 적용이 급속히 증가
- 아날로그 옥외광고미디어의 한계를 극복하고, 광고주 미디어 효과 측정에 대한 요구로 디지털 전환 가속화
- 스마트 도시 가속화로 디지털 옥외광고미디어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
<아날로그, 디지털 옥외광고미디어 특성 비교>
특성 | 아날로그 옥외광고미디어 | 디지털 옥외광고미디어 |
형태 | 고정형, 정적 콘텐츠 | 동적, 실시간 콘텐츠 |
광고 콘텐츠 운영 | 계약 기간이 탄력적이지 않음 (월 단위 계약이 주를 이룸) |
유연한 광고 콘텐츠 운영 계약 가능 (특정 시간, 일, 주, 월 단위 가능) |
운영 비용 | 저비용, 콘텐츠 변경 시 추가 비용 | 초기 구축, 설치에 따른 고비용, 장기적 효율성 |
광고 효과 | 정적인 시각 효과 계약된 기간 동일 콘텐츠 노출 |
디지털 콘텐츠 영상, 모션, 상호작용 등에 따른 관심 유입 |
기술 활용 | 경험 기술 필요 | 숙련된 디지털 기술 필요 |
상호작용성 | 없음 | 터치, QR, NFC 등등 디지털 기술 적용 |
효과 측정 | 설문 조사 방식으로 필요시 운영 |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 |
유지보수 | 현장 미디어 관리 | 현장 미디어 관리 + IT + 전력 관리 |
○ 옥외광고미디어 시장 규모
- (글로벌 시장 규모) 2024년 기준 글로벌 옥외광고 시장 규모는 410억 달러로 추정, 2033년까지 679.7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2025-2033년 동안 연평균 성장률(CAGR) 5.72%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
- 북미 지역은 전체 시장 수익의 약 40%를 차지하며, 디지털 옥외광고(DOOH) 채택이 증가 추세
- 시장 성장은 아시아 지역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2024년 기준 34.5%의 시장 점유율을 보유
- 아시아 지역은 도시 인구 증가, 급속한 경제 성장, 인터넷 보급 및 디지털 사용자 증가, 공항, 쇼핑몰, 교통망의 신규 인프라 개발이 옥외광고미디어 시장 성장주도 요인
- (국내 시장 규모) 2022년 옥외광고산업의 시장 규모가 처음으로 4조 원을 돌파하여 4조 226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2021년 대비 12.8% 성장
- 2022년 디지털 옥외광고 시장 규모가 1조 2,862억 원을 기록, 처음으로 1조 원을 돌파 2021년 대비 33.9% 성장
- 디지털 옥외광고가 전체 옥외광고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21년 26.9%에서 2022년 32.0%로 5.1%P 증가
○ 국내 옥외광고미디어 산업 경쟁력
- 선진국은 기술 우위와 대규모 시장을 기반으로 효율적인 운영과 표준화가 강점이지만, 디지털 옥외광고 도입과 운영에 따른 고비용으로 경쟁력 확보에 주력
- 한국은 잘 갖추어진 IT 인프라를 바탕으로 빠른 성장 가능성을 보이지만, 글로벌 시장 확장성이 부족하며, 대기업 옥외광고미디어 기업과 중소 옥외광고미디어 기업 간의 자본, 기술, 인력의 격차 심화하고 있음
<디지털 옥외광고미디어 산업 경쟁력 비교>
구분 | 선진국 | 한국 |
기술 |
|
|
운영 효율성 |
|
|
시장 구조 |
|
|
소비자 경험 |
|
|
정책 및 규제 |
|
|
기술적 한계 |
|
|
운영 과제 |
|
|
시장 한계 |
|
|
정책 및 규제 |
|
|
소비자 반응 |
|
|
관련 자료 출처
- https://www.imarcgroup.com/outdoor-advertising-market
- https://www.sphericalinsights.com/ko/reports/digital-out-of-home-advertising-market
- 한국옥외광고센터 옥외광고통계 2022 발췌
반응형
'공공 미디어 > 디지털 옥외광고(DOO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옥외광고 미디어 플랫폼의 필요성 (0) | 2025.03.09 |
---|---|
생태계 중심 "풀 스택 디지털 옥외광고 미디어 플랫폼" 개발 내용 (0) | 2025.01.07 |
생태계 중심 "풀 스택 디지털 옥외광고 미디어 플랫폼"을 위한 시장 조사 (0) | 2025.01.06 |
공간미디어, 공공 미디어 그리고 디지털 옥외미디어까지... (0) | 2024.11.21 |
옥외광고 산업 캐즘(Chasm) 극복 제언 (0) | 2024.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