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공공 미디어 _ 사용자 경험과 데이터를 활용, 공간 미디어의 디지털 전환 (DX)
공공 미디어/디지털 옥외광고(DOOH)

풀 스택 디지털 옥외미디어 플랫폼(Full Stack DOOH Platform)이 필요한 이유

by 공공미디어디렉터 _ 김성원 2024. 9. 19.

풀 스택 디지털 옥외미디어 플랫폼 (Full Stack DOOH Platform)에 대해

지난 블로그에서 소개하였다.

디지털 옥외미디어에서 풀 스택 디지털 옥외미디어 플랫폼이 필요한 여러 이유 중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이 2가지라고 생각한다.

 

첫 번째는 RMS (Remote Management System)이다.

RMS는 의미적으로 정확히 사용한다면 Remote Device Management System이다.

즉 원격지 기기 관리 시스템이다.

디지털 옥외미디어는 다수의 미디어 기기를 오프라인 현장에 설치하여 운영을 한다.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어, 원격지 기기 관리를 통한 원격 모니터링 (Remote Monitoring)

원격 제어(Remote Control), 예지보전 (Predictive maintenance ),

고장진단 (Fault Diagnosis) 등의 BS(Before Service)와 AS(After Service)가 

항시 이루어져야 한다.

 

광고주는 장소와 기간에 대해 비용을 지불하였다.

미디어 사는 계약된 기간 동안에 무 중단 서비스(non-stop service)를 원칙으로 한다.

만약 광고 서비스가 중단이 될 경우 광고주는

미디어사에게 계약 위반에 따른 책임이행을 요구할 수 있다.

 

아날로그 옥외광고를 수행할 때는 미디어 주변 환경에 집중하였다면

디지털 옥외광고 미디어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현장에서 발생 가능한 변수를 고려하고

이에 따른 즉각적인 대응 체계 및 기술을 반영해야 한다.

 

디지털 옥외 미디어는 시스템 통합(SI : System Integrated) 미디어로

기구 시설물, 토목, 전기, IT 제품과 기술이 현장 맞춤형으로 구축, 설치, 운영되고 있다.

이 중 IT 제품과 기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능과 기기 노후화로 관리가 꼭 필요하다.

 

그래서 무 중단 서비스(non-stop service)를 위해 필요한 것이 RMS이다.

 

모바일 광고 기업이 디지털 옥외 광고 사업을 어려워하는 이유가

오프라인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변수들이다.

그리고 기존 옥외광고 미디어사 디지털 옥외미디어 운영을 어려워 하는 이유 역시

광고 콘텐츠를 운영하는 것이 아닌 현장 미디어 기기를 관리 운영해야 하기 때문이다.

 

디지털 옥외미디어는 현장에 대한 경험과 IT 지식이 수반되지 않으면,

시행착오에 따른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요소를 줄이기 위해  풀 스택 디지털 옥외미디어 플랫폼을 지향하면서

RMS 기능을 반영하고 강화하고 있다.

 

엠앤엠네트웍스의 RMS 기능이 적용된 여러 장소의 옥외 미디어는

현재 원격 모니터링 (Remote Monitoring) 부분 원격 제어(Remote Control)가 가능하다.

지속적인 개발로 향후에는

예지보전 (Predictive maintenance ), 고장진단 (Fault Diagnosis)까지 반영할 계획이다.

버스 정류장 디지털 옥외광고
실내 매장 옥외광고 미디어

 


두 번째는 DMS (Data Management System)이다.

옥외 광고에서는 데이터 기반 오디언스 분석에 한계가 있었다. 

광고주는 미디어가 설치된 장소 특성과 미디어 유형을 기준으로 광고를 수행하였다.

 

옥외광고의 디지털 전환(OOH to DX)이 가속화되면서

데이터 수집, 분석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기 시작하였다. 

 

디지털 옥외광고와 옥외 미디어 효과 기반 데이터 분석에 대해

이전 블로그에 잠시 설명하였다. 

수집하는 데이터는 오디언스, 환경, 미디어 기기, 운영 로그, 장소 등의

여러 종류의 다양한 데이터들이 수집된다.

그리고 외부 데이터로 공공데이터, 통신, 카드 데이터 등등이 활용된다.

수집되는 내부 및 외부 데이터는 목적에 따라 

CMS / RMS / 조건 광고 / 상황인식 인터랙티브 광고 등등에 적용된다.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집, 관리, 알고리즘 운영 및 분석을 위해서는

DMS가 필요하다. 

DMS는 데이터를 수집, 분류, 분석한 후 특정 알고리즘 이용하여

광고 효과, 미디어 효과 분석을 하고, 기기의 예지보전 및 고장진단과

광고주의 목적에 맞는 맞춤형 광고를 수행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풀 스택 디지털 옥외광고 미디어 플랫폼(Full Stack DOOH Platform)의

아래 4가지 시스템이 기본 구성이다.

1. CMS (Contents Management System)
2. RMS (Remote Management System)

3. DMS (Data Management System)

4. AD Exchange systems

 

CMS는 본질적인 디지털 콘텐츠 운영이다.

AD Exchange systems는 광고주와 미디어사 간 트랜젝션 서비스이다.

이 둘은 대부분의 디지털 광고에 보편적인 시스템이다.

 

디지털 옥외미디어는 옥외(Out Of Home)이라는 서비스 특성과

다른 의미의 옥외(Outdoor)라는  물리적 특징을 반영할 경우

RMS와 DMS가 포함은

풀 스택 디지털 옥외광고 미디어 플랫폼에 중요한 부분이다.

 

풀 스택 디지털 옥외광고 미디어 플랫폼을 구현을 위해서는

시스템을 개발보다 중요한 것아 현장 경험과 IT 지식

그리고 옥외광고 도메인에 대한 이해이다.

 

===

 

아래의 도표는 그동안 운영한 여러 장소에서 수집 분석한 내용이다.

 

<디지털 옥외광고 효과 분석>

노출 인구(OTS) Data vs 광고를 본 오디언스 (VAC) Data (Vision Data 기준)
광고 콘텐츠 터치 포인트 오디언스 분석 (Vision Data)

 

<디지털 옥외미디어  특성 분석>

디지털 옥외미디어 설치 장소 분석 (공공 데이터 & WiFi Data)
디지털 옥외미디어 설치 장소의 광고주 광고 운영 현황 (CMS Data)

 

<디지털 옥외미디어  기기 운영 분석>

기상청 환경 Data vs 현장 환경 센서 Data

 

====================================================

옥외미디어 디지털 전환과 DOOH AD Exchange를 위한

디지털  옥외 미디어  서비스  플랫폼

(주)엠앤엠네트웍스 CEO & 공공미디어 디렉터  김성원  

 e-Mail : sungwon.kim@mnmnetworks.com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