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공공 미디어 _ 사용자 경험과 데이터를 활용, 공간 미디어의 디지털 전환 (DX)
공공 미디어/디지털 옥외광고(DOOH)

교통 플랫폼의 아날로그 사인 vs 디지털 사이니지 기능과 역할

by 공공미디어디렉터 _ 김성원 2015. 4. 13.

늘 인사이트를 주시는 서비스 디자인 회사 대표님과 디지털융합협동조합의 조합원이 참여하여 준비 중인 입찰 사업에 스마트 미디어 및 디지털 사이니지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참여 준비 중인 입찰 사업은 교통 플랫폼에서의 정보체계 개선 사업이다.

 

정보 체계 개선 사업의 핵심은 이해관계자들이 서로 소통하면서 정보를 제공하는 공간과 장소에서 효율적으로 가이드 하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 설치, 구축, 운영된 교통 플랫폼 내의 정보 사인물이 이제는 정보가 아닌 혼란을 가중 시키는 요인이 된 상황을 정리할 필요성에 따른 발주 과제이다. 입찰 제안서를 위해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가이드와 필요성을 논의하고 협의과정에서 그 동안 M&M Networks가 고민했던 아날로그 사인과 디지털 사이니지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자연스럽게 정리가 되었다.

 

 

디지털은 우리 삶과 생활에 있어 유용한 도구이다.

도구의 본질은 목적에 맞게 사용되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도구는 필요할 때 사용되어져야 하며, 필요할 때 있어야 한다. 도구가 목적을 대신해서도 안되고, 도구가 모든 것을 해결 할 수도 없다. 도구는 도구일 뿐이다. 이러한 전제 하에 기존에 활용된 아날로그 사인과의 조화와 협업을 위해서는 상호 정의가 필요했다. 이러한 정의를 통해 각각의 도구를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생각이다.

 

 

 아날로그 사인

디지털 사이니지 

 정보 제공

  바뀌지 않는 정보의 고유성 & 명확성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가변적이거나 복합 정보

 정보 인지

  인지적 직관성  

  명확한 프로세스에 따른 정보 취득

 주 설치 장소

  동선이 이루어지는 통로

  트래픽이 발생하는 교차로, 입출구, 환승 장소

 정보 취득 방법

 움직이면서 취득 가능한 정보

  머무르면서 취득가능한 정보

 

< 교통 플랫폼에서 아날로그 사인 vs 디지털 사이니지 역할 >

 

 

아날로그 사인은

한번 설치하면 재 설치하기까지 바뀌지 않는 특성을 감안을 하여, 고유성과 명확성을 지닌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예를 들면 지명, 거리, 방향 등이 해당한다. 그리고 누구나가 봐도 직관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 지를 전달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접근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교통 플랫폼이라는 특성을 감안할 때 이용자가 움직이면서 아날로그 사인을 보고 목적하는 바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렇게 때문에 마일 스톤의 기능이 함께 있어야 한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다양하고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특성이 있기에 아날로그 사인에서 얻을 수 없는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형태로 상호 보완적으로 기획 설계되어야 한다. 교통 플랫폼에서 아날로그 사인은 표현되는 주된 역할을 하고 디지털 사이니지는 보조적 역할을 하는 형태로 구성을 하면서 디지털이 갖고 있는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특성은 가변적이거나 여러 정보의 조합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들을 프로세스화 하여 전달할 수 있도록 기획,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간대 별로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출구를 파악하여 출구를 분산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거나, 시즌 또는 시간에 따른 목적지에 대한 상황을 파악하여 출구를 안내하고 해당 현 위치에서 해당 출구까지 및 목적지까지의 걷는 시간을 알려줄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선의 혼잡도를 줄일 수 있고, 이용자가 스스로 상황을 판단하여 행동할 수 있도록 유도가 가능한다.

 

디지털 사이니지 설치 방법은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아날로그 형태의 직관적 사인은 가변적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아날로그 사인과 함께 설치가 가능하다. 프로세스에 따른 복합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는 머무를 수 있는 장소 (Waiting Place)가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는 별도의 Digital Information Zone설정하여 공항에서 Help Desk를 찾듯이 자연스럽게 해당의 장소로 이용자가 이동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디지털의 복합정보는 TBS (Taxi - Bus - Subway)를 연계하는 정보로 교통 환승의 지점에서 환승 교통편의 상황정보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트랜스 미디어 개념에서 콘텐츠를 디지털 사이니지에서 스마트 폰으로 연동을 시킬 수 있다.

 

교통 플랫폼에 디지털 사이니지를 설치할 경우 가변적이고,  프로세스에 따른 복합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황 정보를 수집 분석 제공 가능한 시스템이 구축이 되어야 한다. 디지털이 아날로그의 복합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어서 그 한계가 있다. 디지털의 핵심적 기능 중에 하나가 상황정보를 통해 그에 따른 콘텐츠와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여 이용자가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것이 핵심이다.

 

 
=================================================================================

M&M Networks (주)

이사  김성원  

e-Mail : heamosu12@gmail.com

 Digital Signage, 스마트 미디어,  서비스 모델 개발 
 Consulting & Directo / Speaker /
 Web site  :  http://www.mnmnetworks.com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