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미디어/SD & BM37 디지털사이니지: 편의점 광고투자 사업과 연계한 비지니스모델의 한계와 대안 #DOOH 디지털사이니지 사업 초기 편의점을 중심으로 하여 광고 투자 사업을 전개했었다. 기본 컨셉은 편의점이 장소를 제공하고, 투자사가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여 광고 유치에 따른 수익을 배분하는 방식이었다. 이 비지니스 모델은 기획단계에서는 비지니스 수익구조가 좋았으며, 광고로서의 가치를 갖고 있는 것 처럼 보였다. 그런데 편의점이라는 곳에 대한 공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유동인구가 많고, 많은 상품들이 판매하는 전국 단위의 소매점이라는 함정에 빠졌다. 특히 큰 함정은 편의점의 Buying Power가 광고 수주에 일정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란느 추측이었다. 즉 광고 미디어로서 접근을 했을 뿐 공간 미디어로 접근하지 못한 한계를 그대로 노출한 경우였다. 어쩌면 다행이었는 지도 모른다. 현대아이티 시절 .. 2011. 9. 27. 변혁의 시기에 읽는 가까운 미래사회 산업의 가치가 제조에서 유통 그리고 금융으로 바뀌었고, 금융의 발달은 자본주의의 정점을 찍으면서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산업사회에서 정보사회로의 변화 과정에서 금융은 정보사회를 단기간에 산업과 사회전반에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이유는 정보산업의 금융순환이 기존의 산업에 비교했을 때 뛰어났기 때문이었다. High Risk High Return에 잘 맞는 산업이 정보산업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체질이 허약한 글로벌 국가들의 금융산업확대와 파생상품 출시 그리고 단일 시장을 만들려는 유럽연합(EU)의 꿈이 자본주의에 대한 폐해로 불어 닥치고 있는 것이 최근의 현실이다. 정보사회의 가속화와 자본주의 정점이후에 우리가 예측가능한 사회의 모습은 어떤 것일까? 굴뚝 산업은 과연 무너지는 것.. 2011. 9. 17. 인텔과 마이크로 소프트가 제시하는 미래의 모습 IT의 관점에서 벗어나 일상이라는 가까운 우리의 미래를 보여주는 동영상을 보면 앞으로 우리가 살아가야할 세상을 미리 엿보는 느낌이 든다. 상상이 현실로... 기술이 일상으로 들어와 문화로 자리잡아나아가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 우리가 상상하는 세상은 생각보다 빨리 올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세상에 우리가 무엇을 하고 어떤 일을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은 진지하게 할 필요성이 있다. 변화는 늘 기회와 위험요소를 함께 가져오기에... 시대의 변화를 온 몸으로 느끼며... =================================================================.. 2011. 9. 2. 디지털사이니지 구축 프로세스 개발 <이천 문화의 거리 & 부산 서면 특화거리> #DOOH 디지털사이니지 비지니스를 하면서 좌충우돌 업계를 돌아다니고, 고객을 만나고, 시장을 개척하는 과정에서 제품을 판매하는 것이 아닌 컨셉과 제안 영업을 해야했다. 디지털사이지니 개발과 구축을 위해서는 니즈를 유발시키면서 새로운 미디어로서 고객과 업계와의 소통을 위한 프로세스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절실하게 하였다. 특히 정부와 지자체관련 사업과 대형 프로젝트의 경우 공간미디어로 공간에 대한 이해와 미디어에 대한 개념 그리고 컨텐츠 종류와 사용자 경험이 반영되지 않으면 1회성 기기로 전락할 우려가 아주 높았다. 구축과 단순 활용에만 치우친다면 시간이 지나면서 그 용도가 퇴색되어 흉물이 될 가능성이 아주 많았다. 고객은 지속가능한 상징성을 갖고 사용자가 활용하기를 바랬고, 구축을.. 2011. 8. 8. 아이폰으로 본 기업의 미래 지난 주 본의 아니게 아이폰을 구매하게 되었다. 삼성의 아몰레드폰을 사용하고 있었는 나의 부주의로 단말기 할부금도 다 끝나지 않은 폰을 날려먹었다. A/S선터에 가서 수리를 요청하니 수리비가 단말기 가격의 2/3가 넘었다. 이참에 갖고 싶었던 Smart Phone을 구매하기로 맘 먹고 아내에게 꾸중을 듣고 통신사 대리점으로 향했다. 이전부터 Smart Phone에 대한 관심으로 삼성, LG, 애플등을 인터넷으로 찾아 사전 지식을 담았고 핸폰 매장에서 들려 기기들을 간단히 사용도 해봤었다. 그리고 담에 살때는 그래도 손에 익은 삼성폰을 사려고 했었다. 삼성폰이 나에게 UI가 편하고 경험적 접근성이 뛰어나기 때문이었다. 아이폰을 당시에 염두에 두지 않았던 것은 키패드가 불편했으며, 전화기로서의 기능성에 대한.. 2010. 4. 8. 이전 1 ···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