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공공 미디어 _ 사용자 경험과 데이터를 활용, 공간 미디어의 디지털 전환 (DX)

UX4

디지털사이니지의 효과적인 정보 전달 방법 제안 #DOOH 각 미디어 마다 콘텐츠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경험이 다른다. 이러한 사용자들의 경험을 UX라고 한다. UX를 통해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사람들이 대상을 바라보고 활용하는 방법을 통해 대상의 정체성을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많은 서비스와 기능을 제공할 때 사람들은 그 대상에 대한 정의를 내리지 못하고 아예 활용 자체를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대상의 서비스와 기능을 사용자들이 나름 해석하여 재 정의 하는 경우도 있다. 갑자기 뜸금없이 UX 관점의 얘기를 하는 이유는 바로 디지털사이니지가 갖고 있는 정체성의 모호성이 사용자로 하여금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지금까지 디지털사이니지는 광고를 제공하는 기기로 인식되어 사람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있음에도 전자 광고판이라는 인식에 그 .. 2012. 3. 12.
제품 서비스디자인 및 디지털사이니지 세미나 - #DOOH 블로그에 꾸준히 디지털사이니지 관련한 글들을 쌓아두고 있었다. 내 삶의 일부이며 경험이었던 과정들에 대한 정리였다. 그런데 블로그를 보고 업계와 관심있는 분들의 언급에 책임감이 커져버렸다. 덕분에 자유롭게 쓰던 글을 이제는 의무감이 생겨 1주일에 최소 블로그에 글을 한편 이상씩은 올리려고 한다. 이번 글은 파트너사의 초청으로 디자인진흥원에서 화장품 업계분들을 모시고, 디지털사이니지에 대한 강의를 한 자료이다. 최근에 강의요청이 간간히 와서 기본을 정리한 뒤 강의요청한 업계와 모임의 특성에 따라서 조금씩 편집하여 자료를 만들곤 했는데, 이 자료를 블로그에 올리는 것이 좋을 것 같아. 이번 강의 자료부터는 블로그에 올리기로 했다. 디지털사이니지(Digital Signage)라는 용어는 하드웨어적인 용어이다... 2011. 11. 8.
디지털사이니지 UX(User eXperience)가 필요한 시대! #DOOH 2011년은 디지털사이니 업계에 있어서 질적 양적 변화를 가져온 변곡점의 한해라는 것은 업계에 계신 분이라면 이견이 없을 것이다. 양적 변화는 고객들이 적용 범위에 대한 인식의 확대와 규모를 갖춘 기업들이 디지털사이니사업에 상당부분 진출하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질적 변화라는 것은 초기 단순 설치에서 이제 설치에 따른 많은 부분을 고려하기 시작했다는 뜻이다. 양적 확대에 따른 질적 변화는 향후 디지털사이니지의 발전과 새로운 계기를 마련할 것이라는 확신을 서게 하는 부분이다. 초기 디지털사이니지는 특정 장소에 설치하여 댓수를 늘려가는 방식으로 중소, 벤처 제조사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이 시기만 하더라도 규모를 갖춘 기업이 진출하기에는 시장의 크기가 갖추어지지 않아 관망하던 때였다. 이 시기.. 2011. 10. 17.
디지털사이니지 생태계구축을 위한 산업생태계 이해 #DOOH 자연 생태계는 먹이사슬 구조의 약육강식으로 파악했던 시대에서 각 개체의 종과 환경이 서로 견제하며 협력하는 자연균형이라는 원리를 갖고 움직이는 것으로 정의내리는 것으로 시각의 변화를 갖는 시대에 살고 있다. 이는 생태계가 개체에 대한 가치와 환경에 대한 의미를 존중하면서 생존하고 발전하기 위한다는 것 같다. 자연은 경영을 하는 사람들에게 늘 새로운 가치를 주지만, 경영하는 사람들은 보이는 단편적인 부분을 자신의 시각에서만 받아들이는, 아는 만큼의 정보를 받아들이고 지식이라고 내놓는 데 열중한다. 우리나라의 대기업들은 포식자의 상단에 서 있으면서 스스로가 환경을 만들어 생태계를 인위적으로 구성하고 조정하고 있다. 이는 자연스러운 것이 아닌 말 그대로 인위적이기에 균형과 견제라는 자연의 원리에 어긋나는 경영.. 2011. 7. 22.